일본 / 근현대사 (에도막부, 메이지유신, 전쟁부터 현대)
에도 막부- 막번 체제 : 번주 (다이묘) / 지방을 다스리는 권세가 ▷ 지방분권의 성격이 강해질 수 있다- 격년마다 막부 - 번을 오가는 교대근무제도 ▷ 중앙집권화하고자- 도로교통 발달, 료칸문화 신생, 교대를 위한 비용 대출로 상공계층 발생(조닌)- 문화적으로 가부키(주신구라), 우키요에(풍속화, 그림자가 없고 채색이 강하고 선이 얇은 세밀화)- 경제적으로 쇄국정책 (예외: 포르투칼, 네덜란드 in 나가사키 교역지구) ▷ 서양 문화의 영향을 받은 '난학' 발달 서구화의 시작- 미국, 페리 제독 ▷ 개항 결정 (미일화친조약 - 미일수호통상조약 / 불평등조약)- 네덜란드를 통해 국제적 정서 인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서구화 결정- 불평등조약에 따른 민심 악화 ▷ 막부 타도운동 (구심점 천황으로 한, 존왕양..
2024. 9. 13.
일본 / 전근대사 (야마토, 나라, 헤이안, 가무쿠라, 무로마치, 전국시대, 에도)
일본의 특징 (5) 1. 정치적 권력, 중앙보다 지방분권 2. 신토 혹은 신도 문화 (모든 것에 다 신성함이 깃들어있다는, 샤머니즘적 성격) 3. 천황 (태양신의 후손이라 믿으며, 이에서 나라 이름과 국기가 유래) 4. 지역이 바뀌면 시대가 구분된다 (교토, 오사카, 가마쿠라, 에도) 5. 이이토 코토리 (좋은 것은 무조건 취한다) 1. 야마토 정권 (교토) 다른 나라에 비해 다소 늦게 통일정부가 등장 (우리나라 통일신라 시기) 쇼토쿠 태자 (500~600년대 인물) 권력을 중앙으로 집중시키고, 천황의 권력을 강화하기 위해 불교 전파 - '윤회와 업' 사상 : 전생에 업을 어떻게 쌓았느냐에 따라, 후생이 결정된다 ▷ 권력층의 정당화 - 아스카 문화: 불교가 발달했던 시기로, 7세기 백제로부터 불교문화를 ..
2024. 9.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