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ng's paternity reveal exposes where S. Korea stands on out-of-wedlock children
paternity: 아버지임 (추상적이고 공식적인 표현)
"부성(父性)"이나 "아버지임"이라는 의미로 사용되며, 법적, 생물학적, 또는 사회적 맥락에서 주로 쓰임
예를 들어, 친자 확인(법적 관계)을 언급할 때 많이 등장
[1] Actor Jung Woo-sung’s recent admission that he fathered a child with model Moon Ga-bi has reignited conversations in South Korea about societal attitudes toward children born out of wedlock.
admission: 가입, 입학, 허가 / (잘못에 대한) 인정, 시인
reignite: 다시 불을 지피다 (ignite: 불을 지피다)
wedlock: 결혼 또는 혼인상태 (법적, 사회적 개념으로 사용)
문어체에서 주로 사용하며, 부정적인 의미로 주로 사용 (Out of wedlock - 혼외출생)
[2] While Jung pledged to fulfill his responsibilities as a father without pursuing marriage, the public response has been largely critical, highlighting the nation’s deeply conservative stance on non-traditional family structures.
pledge: 약속하다 (공식적이고, 강한 의무감이 드러나는 약속 - 격식을 차리거나 행동이나 의무를 다할 때 쓰임)
ㄴ bow: 맹세하다 / promise: 일상적인 표현으로 '약속하다'
fulfill: 이행하다
conservative: 보수적인 (<> progressive: 진보적인)
[3] Many online users criticized Jung for his decision not to marry Moon. One commenter on the nation’s largest search engine Naver labeled him a “selfish do-badder” for avoiding marriage while fulfilling his sexual desires, garnering 1,053 likes.
label: 꼬리표를 붙이다
do-badder: 양아치 (<> do-gooder: 공상적 박애주의자)
garner: (정보, 지지 등을) 얻다
[4] Another remarked, “He never dated but got a baby. He doesn’t want to get married but wants to raise the child. That’s nonsense.” This comment received 500 likes.
remark: 발언하다 (<> remarkable: 주목할 만한)
* 경제적 이익이 아닌, 외국어 공부를 위해 작성한 글로, 문제가 될 시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 출처: 코리아헤럴드 팟캐스트
https://www.podbbang.com/channels/6638/episodes/25049995
기사 원문: https://www.koreaherald.com/view.php?ud=20241126050049
혼외자를 대하는 한국인의 시각
<p>진행자: 간형우, Chelsea Proctor</p> <p><strong>Jung's paternity reveal exposes where S. Korea stands on out-of-wedlock children</strong></p> <p>기사 요약: 정우성과 문가비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 조명한 혼외자에 대한
www.podbbang.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