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특징 (5)
1. 정치적 권력, 중앙보다 지방분권
2. 신토 혹은 신도 문화 (모든 것에 다 신성함이 깃들어있다는, 샤머니즘적 성격)
3. 천황 (태양신의 후손이라 믿으며, 이에서 나라 이름과 국기가 유래)
4. 지역이 바뀌면 시대가 구분된다 (교토, 오사카, 가마쿠라, 에도)
5. 이이토 코토리 (좋은 것은 무조건 취한다)

1. 야마토 정권 (교토)
다른 나라에 비해 다소 늦게 통일정부가 등장 (우리나라 통일신라 시기)
쇼토쿠 태자 (500~600년대 인물)
권력을 중앙으로 집중시키고, 천황의 권력을 강화하기 위해 불교 전파
- '윤회와 업' 사상 : 전생에 업을 어떻게 쌓았느냐에 따라, 후생이 결정된다 ▷ 권력층의 정당화
- 아스카 문화: 불교가 발달했던 시기로, 7세기 백제로부터 불교문화를 수용
2. 나라 시대
(우리나라 남북국 시기)
- 헤이조쿄로 수도 이전
- 이이토 코토리라는 말처럼, 중국(당) 벤치마킹 ▷ 당나라의 문화를 배워오는 사절단 '견당사' 파견 ▷ '당풍'이 분다
- 나라시대 말, 안 좋은 일들이 겹치며 새로운 정권이 등장
3. 헤이안 시대 (* 헤이안 = 평안) / 교토
(우리나라 고려 시기)
- 견당사 파견 중지, 우리 고유의 문화로 돌아가자는 움직임 ▷ '국풍'이 분다 (가나문자의 등장)
- 지방분권적 성격이 강해지기 시작 ▷ 각자도생을 위해 '무사' 고용, 그 중 미나모토 가문이 강력하게 등장
4. 가마쿠라 막부 / 가마쿠라
(우리나라 고려, 무신정권 시기)
-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쇼군의 등장 ▷ 무사시대를 장악
- 특권계층인 '무사'에게 주어진 권력(3) : 성씨, 칼, 즉결처분
- 쇼군과 함께 천황이 공존했지만, 실질적 통치는 쇼군에 의해 장악
- 봉건제도 수립 ▷ 지방분권을 강화시키는 특징
- 원(몽골)의 침입 ▷ 강력한 해상 태풍이 발생하며, 2번이나 침입을 막아냄 ▷ 신의 보호를 받는다는 뜻에서 카미카제(태풍신)
5. 무로마치 막부
(우리나라 조선 시기)
- 아시카가 가문이 통치
- 한 마디로 '하극상'의 시대 ▷ 가마쿠라 막부를 무너뜨리기 위해 천황과 손을 잡았으나, 서로 생각이 달라 천황의 인정받지 못함
- 하극상의 문화가 퍼지며, 일반 평민들까지 노략 증가 ▷ 우리나라와 명나라까지 침입
6. 전국시대 (센고쿠 시대)
(우리나라 조선 중기)
- 3명의 주요 인물이 등장
1) 오다 노부나가 (아래 두 인물의 보스) ▷ 사무라이 그 자체인 인물이었으나, 혼노시에서 부하에게 죽임을 당함
2) 도요토미 히데요시
3) 도쿠가와 이에야스 : 권력에서 밀려, 토지 질이 떨어지는 에도지역 담당
- 네덜란드로부터 '조총' 전수 ▷ 조악한 형태로 재장전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 ▷ 전쟁무기로서 매력도가 떨어짐
- 도요토미 히데요시, 3열 체제로 정비하며, 조총 주축으로 세력 확장, 정치적 권력을 장악
- 무사의 시대에서 평화의 시대로 변화 ▷ 내부 무사들의 불만이 쌓이며, 이를 외부로 돌리고자 (임진왜란 발발)
7. 에도시대 / 도쿄
(우리나라 조선 후기)
- 도쿠가와 이에야스 쇼군
- 하극상을 막아야 한다 ▷ 정치적으로 '산킨 코타이 제도' 도입
- 쇼군이 존재하는 막부와 번으로 지역 구분 ▷ 번을 다스리는 번주(다이묘) 배치
- 지방분권적 성격을 줄이기 위해, 격년마다 다이묘는 에도와 번을 오가며 쇼군을 보필
- 이 과정에서 여러가지 문화에서 변화
1) 상공계층(조닌)의 등장 : 에도와 번을 오가기 위해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자금을 빌리며 상공계층이 성장
2) 료칸과 사이세키 문화 형성
3) 가부키, 우키요에
- 경제적으로 쇄국정책을 선택 (단 네덜란드, 포르투칼은 예외였으며, 교역구역은 나가사키로 한정)
- 서양풍 학문인 '난학'의 발전 ⇔ 국학도 함께 발전
* 제가 복습하려고 요약한 내용입니다만, 문제가 될 경우 삭제하겠습니다.
출처: 이다지do
https://www.youtube.com/watch?v=msmIwHi9Mt0
'역사공부 with YOUTUB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 근현대사 (아편전쟁, 국공내전) (4) | 2024.09.20 |
---|---|
중국 / 전근대사 (하~한나라, 위진남북조~청나라) (0) | 2024.09.20 |
일본 / 근현대사 (에도막부, 메이지유신, 전쟁부터 현대) (3) | 2024.09.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