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공부 with YOUTUBE

일본 / 근현대사 (에도막부, 메이지유신, 전쟁부터 현대)

by 커피 라이터 coffee writer 2024. 9. 13.

 

에도 막부

- 막번 체제 : 번주 (다이묘) / 지방을 다스리는 권세가 ▷ 지방분권의 성격이 강해질 수 있다

- 격년마다 막부 - 번을 오가는 교대근무제도 ▷ 중앙집권화하고자

- 도로교통 발달, 료칸문화 신생, 교대를 위한 비용 대출로 상공계층 발생(조닌)

- 문화적으로 가부키(주신구라), 우키요에(풍속화, 그림자가 없고 채색이 강하고 선이 얇은 세밀화)

- 경제적으로 쇄국정책 (예외: 포르투칼, 네덜란드 in 나가사키 교역지구) ▷ 서양 문화의 영향을 받은 '난학' 발달

 

서구화의 시작

- 미국, 페리 제독 ▷ 개항 결정 (미일화친조약 - 미일수호통상조약 / 불평등조약)

- 네덜란드를 통해 국제적 정서 인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서구화 결정

- 불평등조약에 따른 민심 악화 ▷ 막부 타도운동 (구심점 천황으로 한, 존왕양이 운동)

 

메이지 유신

- 사무라이 권력을 무너뜨리고, 천황 중심의 권력 회복

- 사무라이 문화 제거: 신분제 폐지, 징병제 실시, 폐번치현(번 제도 폐지), 평민들에게 성씨 부여

- 료우리 요신 (서양인처럼 성장하고자  ▷ 고기를 많이 먹이기 위한 요리가 돈까스)

- 이와쿠라 사절단 파견 (이토 히로부미 포함) ▷ 서구화 추구

- 당시 서구, 제국주의 완연 ▷ 제국주의 반열에 오르고자 ▷ 조선, 강화도조약(1976년), 류쿠 오키나와현으로 편입

 

메이지 헌법 (1889년)

- 근대적인 방향으로 나아간다 ▷ 천황의 권력을 높이는 헌법 수립

- 천황, 신의 존재로 규정

 

청일전쟁(1894) : 최초의 식민지, 타이완 획득

러일전쟁(1904) : 조선에 대한 우위권 획득 ▷ 조선 강제병합(경술국치)

ㄴ 청나라 패권 탈각 이후, 조선에 대한 영향력 확대하고자 했으나 러시아의 개입으로 어려움을 겪자 전쟁 발발

 

대공황 발발 (1929)

- 경제적 타개를 위한 수단으로 전쟁 선택

 

만주사변 (1931)

중일전쟁 (1937)

진주만 습격 (1941): 2차 세계대전에 미국 참전

ㄴ 미국, 항공모함을 동원한 본토 공격 ▷ 본토무적설, 신국의식 파괴

히로시마 원자폭탄 폭격 (1945)

 

미국 군인정부 시기

2차 세계대전 패망 이후 주권이 없는 군가로 존재

 

평화헌법 제정 (1946)

- 미국, 일본을 다시는 전쟁 일으키지 못하도록 만들고자 ▷ 민주주의, 농업국가 목표

- 천황의 인간 선언
- 군사력 보유 불가

 

동아시아의 혼란
- 중국, 국민당-공산당 싸움 이후 공산화 (1949)
- 한국, 6.25전쟁 발발 (1950~1953)
ㄴ 동아시아에서 일본을 자본주의 국가로 성장시키기 위해, 미국의 지원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1951)
- 사과, 배상없이 마무리하도록 조약 수립

자위대 설립 (1954)
우익세력이 합쳐 자민당(자유당+민주당) 설립 (1955)
ㄴ 1993년까지 긴 시간 우익정당의 독점 ▷ 근거는 대폭적인 경제성장 (1955~1970년까지 연 10% 고도성장)


 미-일, 엔화가치를 올리기로 협의 (1985)
ㄴ 미, 일본의 수입비중 줄이고자 (일본의 가격경쟁력 하락)
ㄴ 일, 내부시장 살리기 위해 저금리 형성
ㄴ 대규모 대출 형성 ▷ 거품경제 형성

일 대장성, 대출규제하며 거품경제 폭락 (1990)

ㄴ 잃어버린 10년
ㄴ 2009년 정권 교체했으나, 2012년 자민당 재독점

 

 

* 제가 이다지 선생님의 강의를 복습하려고 요약한 내용입니다만, 문제가 될 경우 삭제하겠습니다.
 
출처: 이다지do
https://www.youtube.com/watch?v=Wzq-wZdDQ5Y&t=1478s

 

댓글